[어게인뉴스=정부경 기자] KT가 강행하는 구조조정이 또 한 명의 희생자를 낳았다. 기술직으로 입사해 10여 년을 헌신한 직원 A씨가 강압적인 인력 재배치 과정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는 KT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비극으로, 기업의 인력 감축 방식이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거세다.
KT 직원 A씨가 지난 21일 새벽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유서에는 "이런 말도 안 되는 교육을 받으면서 자괴감이 든다"는 절망의 메시지가 담겼다. A씨는 통신망 관리 업무를 담당해온 기술직이었지만, 구조 조정 과정에서 원치 않는 영업부서로 강제 발령됐다. 익숙하지 않은 업무와 지속적인 압박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KT는 지난해부터 인력 구조조정을 본격화했다. 통신 인프라 분야에서 5700여 명, 약 30%의 인력을 감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 직원들을 자회사로 전출하거나, '토탈영업TF'라는 조직으로 강제 배치하는 방식이다.
노조는 "KT가 직원들의 고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미 4500여 명이 회사를 떠났으며, 남아 있는 2500여 명은 비자발적으로 토탈영업TF에 배치됐다는 주장이다.
강제 배치와 업무 전환…KT의 인력 감축 방식 논란
KT의 구조조정 방식은 강압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기술직 직원들을 영업부서로 강제 전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정신적 압박이 가해지고 있다. A씨 역시 이에 반발했지만, 회사는 일방적으로 영업 부서 발령을 내렸다.
토탈영업TF에 배치되면 다른 부서로 이동이 불가능하고, 1년 단위로 근무지를 순환해야 한다. 이는
사실상 퇴사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해석된다. KT 새노조는 "직군 전환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고려 없이 무조건적인 재배치를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반복되는 비극…KT에서 일어나는 잇따른 극단적 선택
KT에서 구조조정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1년에는 대규모 인력 감축 이후 15명의 직원이 사망했고, 2013년에는 21명의 직원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14년에는 구조조정을 발표한 직후 KT가 일부 지사의 옥상을 폐쇄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KT 관계자는 "'자살 방지' 목적이었다"고 인정해 논란이 더욱 커졌다.
KT는 인공지능(AI) 기반 케어로봇을 통해 독거 노인의 자살 예방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정작 자사 직원들의 정신건강과 복지는 뒷전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KT의 구조조정 방식이 직원들에게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으며, 심지어 죽음으로까지 내몰고 있다. 강압적인 재배치, 직군 변경, 퇴사를 유도하는 방식의 정책이 기업 윤리에 맞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회사는 단순히 '경영상 필요'라는 이유로 직원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 것이 아니라, 보다 인간적인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한다. "사람이 있어야 기업도 있다"는 기본 원칙을 간과한 기업 운영이 또 다른 비극을 낳지 않기를 바란다.